
<암벽등반>
1. 다음 중 중간 확보물이 아닌 것은?
➀ 앵글하켄 ➁ 헥센트릭 ③ 트라이 캠 ➃ 자일
2. 다음 중 바위등산을 할 때 주의점이 아닌 것은?
➀ 올라가기 전에 충분한 루트를 파악하는 것과 관계없다.
➁ 헬멧을 꼭 써야 할 필요는 있지만 인공등반 시 안 써도 무방하다
③ 오르기 전에 신발은 반드시 점검해야 한다
➃ 너무 높이 홀드(hold)나 스탠스(stance)는 쓰지 말아야 한다
3. 다음은 8자 하강기의 특징이다. 옳지 않은 것은?
➀ 원형과 타원형은 8자 환으로 구분된다. ➁ 자일 조작하기가 편리하다.
③ 자일이 잘 꼬이지 않는다. ➃ 하강 속도를 자유로이 조절 할 수 있다.
4. 빙벽등반의 필수 장비가 아닌 것은?
➀ 피켈 ➁ 아이젠 ③ 방수자일 ➃ 하켄
5. 다음 중 암벽의 명칭이 아닌 것은?
➀ 버트레스 ➁ 커니스 ③ 페이스 ➃ 디에드르
6. 여러 가지 확보물 중에서 와이어 너트의 장점이 아닌 것은?
➀ 와이어 너트의 뻣뻣한 철사가 손잡이가 되어 보다 높은 곳에 너트를 쉽게 설치 할 수
있고 회수가 쉽다.
➁ 좁은 크랙에 너트를 설치하기 쉽다.
③ 슬링에 비해 강도가 강하고 수명이 길다.
➃ 등반자가 진행함에 따라 로프의 진동에 의해 빠지기 쉽다.
7. 암벽등반 시 확보기구를 확보자의 안전벨트에 걸고 사용하는 확보 방법은?
➀ 간접확보 ➁ 직접확보 ③ 자기확보 ➃ 일반확보
8. 암벽등반 방식 중 “루트에 대한 사전 정보 없이 첫 번째 시도에
추락 없이 자유등반을 해내는 방식”은?
➀ 온사이트(첫눈오르기) ➁ 플래싱(한번에 오르기)
③ 톱로핑(윗줄오르기) ➃ 마스터(연습후 오르기)
9. 다음 등반용어 중 압자일렌이란?
➀ 자일파아티 ➁ 듈퍼하강 도는 S자하강법 ③ 등반 ➃ 횡단
10. 등반에서 등강기 대용으로 사용하는 매듭은?
➀ 오버핸드매듭 ➁ 하프클로브히치(half clove hitch)
③ 프루지크(prusikt)매듭 ➃ 클로브히치(clove hitch)
11. 암벽등반의 3대 기본요건이 아닌 것은?
➀ 밸런스 ➁체력 ③ 리듬 ➃ 삼지점 확보
12.크랙보다 넓고 몸이 쏙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바위틈새 형태를 무엇이라고 하나?
➀ 침니 ➁ 람페 ③ 버트레스 ➃릿스
13.하강 시 주의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➀ 로프를 밑으로 던질때는 끝부분을 먼저 던지고 중간부분을 던진다.
➁ 자일 끝이 바위 밑 안전한 곳에 닿는가 확인한다
③ 압자일렌은 남에게 보이기 위한 쇼가 아니다
➃ 자일이 도중에 암각이나 나무에 걸리지 않게 한다
14. 몸에 매는 보울라인(bowlineknot 매듭 설명 중 틀린 것은?
➀ 몸에 직접 매는 매듭으로 한번 매고나면 풀리지 않는다
➁ 끝부분은 반드시 옭매듭을 한다
③ 몸에 딱 붙여 매어야 풀리지 않는다.
➃ 선등자나 후등자가 매는 매듭이다
15. 인공등반에서의 피피와 그립피피의 사용도는?
➀ 자일 회수기 ➁ 너트회수기 ③ 줄사다리 회수기 ➃ 확보용구
16. 다음 카라비너 모양중 강도가 가장 약한 것은?
➀ 와이어게이트 카라비너 ➁ 0형 ③ 변형D형 ➃ 표준D형
17. 필수 암벽장비 3가지가 아닌 것은?
➀ 자일 ➁ 하켄 ③ 카라비너 ➃ 피켈
18. 넓고 평평하고 매끈한 바위를 무엇이라 하는가?
➀ 슬랩 ➁ 페이스 ③ 칸테 ➃ 오버행
19. 홀드에 대한 설명이다. 맞는 것은?
➀ 등반자가 등반도중 편히 쉴 수 있는 곳 ➁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곳
③ 손잡이 또는 발디딤이 되는 바위의 요철 ➃ 발로 올라서는 곳
20. 암벽등반에서 밸런스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➀ 몸의 중심잡기를 말한다.
➁ 자기 나름대로 올라가는 방법이다.
③ 정신과 육체의 평형감각이다.
➃ 손으로 잡아당기는 감각이다.
21. 카라비너의 강도는 다음 중 어느 것에 따라 다른가?
➀ 길이방향 ➁ 굵기 ③ 넓이 ➃모양
22. 다음의 암벽등반 시 매듭법이 틀린 것은?
➀ bowline매듭-하네스 대용으로 사용할수 있다.
➁ half clove hitch매듭 - 카라비나와 함께 사용하며 제동과 확보에 사용한다
③ fisherman's매듭 - 두 로프를 연결할 때 사용한다.
➃ prusik매듭 - 로프의 끝을 고정시킬 때 사용한다
23. 위험지대를 통과할 때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 일정한 간격으로 자일을 서로 연결하여 같이 오르는 방법은?
➀ 밸런스클라이밍 ➁ 압자일렌 ③ 안자일렌 ➃ 페이스클라이밍
24. 암벽등반에서 5.14A라는 용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➀ 바위모양 ➁ 암벽높이 ③ 암벽난이도 ➃ 암벽폭
25. 등반용 로프의 구조로서 맞게 이루어진 것은?
➀ 외피, 속심, 심지 ➁ 길이, 굵기, 재질
③ 외부, 중부, 내부 ➃ 가죽, 면, 나이론
26. 등반 중 안전밸트 착용시 가장 안전한 착용 방법은?
➀ 한단만 착용 ➁ 상. 하단 모두 착용 ③ 상단만 착용 ➃ 착용 안해도 됨
27. 다음 중 테이스 매듭의 강도는? (매듭하지 않는 상태 100%일때)
➀ 75~80% ➁ 70~75% ③ 65~70% ➃ 60~70%
28. 로프의 한쪽 끝을 안전벨트에 직접 묶는 가장 확실한 매듭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➀ 되감기 8자 매듭 ➁ 보우라인 매듭 ③ 고리 팔자 매듭 ➃ 에반스 매듭
29. 다음 확보기구 중 제동력이 가장 강한 확보기구는?
➀ 8자 하강기 ➁ 허리확보 ③ 빌레이 플레이트 ➃ 그리그리
30. 다음 계산식은 암벽등반에서 중요한 계산식이다. 무엇을 계산할 때의 공식인가?
추락거리 |
추락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로프의 길이 |
➀ 추락높이 ➁ 추락무게 ③ 추락계수 ➃ 등반자 무게
31. 다음은 하강 시스템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이다. ( )안에 들어갈 용어는?
확보지점 → 로프 → 매듭 → ( ➀ ) → 카리비너 → 안전벨트 → 하강자 → ( ➁ )
32. 다음은 바윗길 기호이다. 보이는 루트의 표시 방법 중 맞는 것은?
33. 자연 암벽등반에서 홀드 사용 방법 중 손으로 밀어서 큰 힘이 생기는 홀드의 이름은?
➀ 클링 홀드 ➁ 그립홀드 ③ 핸드후크 ➃ 푸시홀드
34. 자연암벽 등반 기술에서 “손으로는 당기고 발로는 반대현은 밀어 생기는 쪽 힘으로 지지력을 얻는 기술” 을 무엇이라 하는가?
➀ 엑시트 무드 ➁ 레이백 ③ 스테밍 ➃ 맨틀링
35. 암벽등반 확보장비인 와이어 너트의 장점이 아닌 것은?
➀ 와이어 너트의 뻣뻣한 철사가 손잡이가 되어 보다 높은 곳에 너트를 쉽게 설치 할 수 있고 회수도 쉽다.
➁ 좁은 크랙에 너트를 쉽게 설치 할 수 있다.
③ 슬링에 비해 강도가 강하고 수명이 길다
➃ 같은 크기의 슬링 너트보다 무겁다
36. 등반 중 확보물 설치 지점으로 틀린 것은?
➀ 기존 확보물을 이용하면 설치지점에 관계없다
➁ 출발 초기에 설치한다
③ 추락할 경우 어딘가 부딪칠 것 같은 자리에 설치한다
➃ 확보물을 설치하지 않으면 심한 추락이 예상될 때 무조건 설치한다.
37. 선등자의 루트 선택 방법으로 맞지 않는 것은?
➀ 따라 오를 수 있는 코스보다 다소 쉬운 곳을 고른다.
➁ 등반 경험이 있는 코스를 고른다.
③ 코스정찰이 쉽고 하강이 가능한 코스를 고른다.
➃ 확보물 설치와 관계없이 고른다.
38. 국제산악연맹(U.I.A.A) 등반 등급 체계 중 “쉽다”의 표기 방법은?
➀ Ⅱ ➁ Ⅰ ③ Ⅲ ➃ Ⅳ
39. 바위의 모양에 따라 오버행 바위라고 하는데 각도 몇도 이상인가?
① 60도 ➁ 80도 ③ 90도 ➃ 100도
40. 다음 자연 암벽 코스 기호 중 침니코스 기호는?
'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산대회 일반등산 문제 (0) | 2022.03.15 |
---|---|
등산대회 응급처치 문제 (0) | 2022.03.14 |
등산대회 산악독도 문제 (0) | 2022.03.08 |
체온을 떨어뜨리는 요인들 (0) | 2022.03.07 |
해외원정 개인장비 목록 (0) | 2022.03.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