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흐름출판6

(도서) 죽음은 직선이 아니다 (서평) 이 저자의 책은 두 번째 접하게 된다.전작은 다.이 책 참 기억에 많이 남았다. 당연히 전작과 비교가 된다.저자는 종양내과 교수다.쉽게 말하면 암 환자를 다루는 의사다.그러다 보니 삶과 죽음에 대해 많이 생각하시는 듯. 전작은 많이 감성적이었다.마음 아픈 내용도 많았고.그런데 이 책은 그와는 많이 다르게 이성적이다.같은 소재를 완전 다른 느낌으로 썼다. 앞 표지 부제 암, 도전, 진화 그리고삶과 죽음에 대한 매혹적인 탐구 대체로 부제가 책 내용을 잘 설명하는 경우가 많다.이 책도 그렇다.우주의 탄생, 지구의 탄생, 생명의 시작 등에서 시작하여 암까지결국 다 생명의 활동이라는 생각이다.암세포도 생명의 자연스러운 활동이라는 시각이 신선했다. 제목 죽음으로 또 사는 것 아닌가.삶과 죽음, 결국 돌고 도는 것 .. 2025. 4. 14.
(도서) 세상 모든 것의 기원 (서평) 제목이 있어보여서 골라봤다. 저자는 학부가 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이고현재 경희대 사학과 교수 및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 소장이다.그렇다. 이 책은 고고학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그렇다고 맨날 옛날 얘기만 하는 책은 아니다.과거를 통해 현재를 보는 얘기도 많다. 이 책은 이걸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뒷표지에는 유홍준의 추천사가 있다.그중 한 문장만 살펴본다.“진정한 대중성이란 낮은 수준의 전문성이 아니라 전문적인 지식을 대중도 알아들을 수 있게 설명하는 또 다른 노력과 능력이 있어야 획득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유홍준의 이 한마디가 이 책을 아주 잘 설명한다.고고학이라 하면 ‘역사’ 안에서도 조금 더 고리타분하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이 책은 전혀 그렇지 않다. 목차 중 소제목의 일부만 살펴보자. 소주, 신이 내.. 2024. 11. 7.
(도서) 지위게임 (서평) 이 책은 누군가 추천해서 읽게 되었는데한참 걸렸다.한참 걸리는 데는 다 이유가 있다. 글씨가 살짝 작은 편이며여백이 적다.(글씨 크기와 여백은, 지금 다 읽은 책이 한 권 더 있고, 읽고 있는 책이 있는데 대충 펴서 비교해봐도 차이가 난다.)즉 글이 많다는 말이다.주석을 제외하고도 400페이지가 넘어가니 살짝 두꺼운 편이고. 그리고 내용도 살짝 어려우며약간 산만한 느낌도 있다.내가 조금 여유있게 읽었으면 좀 더 좋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있다.뭐, 어쨌거나 나쁘지는 않았다.     책 속으로 여러 연구에서 우울한 사람은 남들보다 훨씬 적은 집단에 속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 집단에 더 많이 동일시할수록 – 그 집단에 자아 의식을 더 많이 투영할수록 우울감이 더 크게 호전되는 것으로 .. 2024. 11. 6.
(도서) 어떤 죽음이 삶에게 말했다 (서평) “자, 당신의 남은 날은 ㅇㅇ입니다. 이 시간을 무엇으로 채우시겠습니까?” ​ 나의 남은 날을 알게 된다면 나는 무엇으로 채울까? 생각 해볼만한 주제이다. 나는 유서를 미리 작성해놓았지만 무엇을 할 것인가는 생각해보지 않았다. 물론 하나씩 실천하고 있지만. ​ 죽음에 관한 책으로는 ebs의 은 죽음을 과학적으로 접근하려고 하였고 김완의 는 이미 이루어진 죽음을 다루고 있다. 이 책은 죽기 전의 사람을 대하는 의사의 글로, 죽음에 관한 최고의 책이라고 평하고 싶다. 이 책 리얼하고 현실적이다. ​ ​ 저자는 서울대병원 종양내과 전문의다. 즉, 죽어가는 사람을 주로 다루는 사람이다. 보령의사수필문학상 대상을 받았으며 을 통해 수필가로 등단한 적도 있는 분이다. 의사이며 글을 잘 쓰시는 분. 《진료실에서 못다.. 2022. 12. 14.
(도서) 룬샷 LOONSHOTS (리뷰) 이 책은 먼저 제목부터 정의하고 가야겠다. ​ 룬샷 : 그 주창자를 나사 빠진 사람 취급하는, 대다수가 무시하고 홀대하는 미친 프로젝트 그러나 전쟁, 의학, 비즈니스의 판을 바꾼 아이디어 ​ 책 표지를 넘기면 대개는 그 안쪽에 저자 소개가 나오는데, 이 책은 안쪽에 이렇게 룬샷에 대한 정의가 나온다. 책 내용 안에서도 룬샷이라는 용어가 자주 사용되어 이 용어를 제목으로 한 것도 나쁘지 않다. 조금 더 참신한 한글로 제목을 지었으면 더 나았을 거라 생각은 든다. ​ 책 내용은 룬샷이라는 제목처럼 다수는 무시하지만 그 바닥의 판을 뒤집는 혁신적인 아이디에 들에 관한 이야기이다. 그리고 단순히 그 룬샷 이야기에 끝나지 않고 룬샷이 나오는 배경과 그런 조직 관리에 관한 물리학적 분석까지 이어진다. ​ “내 가방.. 2022. 9. 15.
(도서) 대량살상 수학무기 (리뷰) 어떻게 빅데이터는 불평등을 확산하고 민주주의를 위협하는가 저자, 유발하라리 강력추천 "대단히 흥미롭고 굉장히 심란케 하는 책" 가장 큰 찬사와 논란을 불러일으킨 문제작 이상이 책 앞뒤에 있는 광고문이다. 읽어야 하는 책이다. 모교에서 동문회보가 달마다 온다. 가끔 거기에는 대학 평가 순위에 관한 기사가 있다. 세계 몇위네, 국내 종합대학 몇위네 하는 기사이다. 그럼 그 평가의 항목은 무엇이며 각 항목별 평가기준은 어떻게 되는지에 관한 내용은 없다. 그냥 상상해본다면 교육시설, 교수 충원 수, 논문, 도서관 등등이 있을 것이다. 위의 기준들을 편하게 생각하면 즉, 돈 이다. 돈이 있어야 좋은 교육시설을 확충할 것이고 교수 및 논문 등도 연구비가 있어야 하는 것이다. 결국 다 돈이다. 그런데 우리는 등록금이.. 2021. 10. 27.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