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베레스트13

에베레스트의 역사 (5)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1760년 유럽 알프스의 최고봉 몽블랑에 드 소쉬르가 등로를 찾으면서 시작된 알피니즘은 240년의 세월의 흐름속에 끝내는 더 이상 오를 데가 없게 됐다. 5대륙 6대주에 이르는 산이란 산은 모두 오르고 벽이란 벽에 길이 났다. 어제 어느 한 구석도 태고의 비밀이나 정적도 간직한 곳이 없는 셈이다. 그러나 세계의 등산가들의 발걸음은 끊어지지 않고 이어지고 있다. 에베레스트도 예외가 아니다. 최고봉으로 알려진지 150년이 되며 인간이 오르기 시작한지도 80년이다. 그리고 1998년까지 그 정상에 선 자 1,052명이며 동서남북 4면으로 14개 루트가 났다. 원정대의 규모가 대원정 형식에서 소수정예를 거쳐 단독등반이 출현했으며, 전진캠프를 건설하던 정상공격법이 천막없는 .. 2023. 6. 12.
에베레스트의 역사 (4) 원정 러쉬에서 상업등반까지 1978년이라는 전환기는 에베레스트 무산소 등정으로만 의미가 있지 않다.이 해 포스트 몬순기부터 에베레스트 입산규정이 풀리면서 같은 계절, 같은 루트에 입산할 수 없었던 지금까지의 제약이 풀리기 시작했다. 그런 뜻에서 1978년은 에베레스트 역사에 가장 큰 분수령이 됐다. 즉 그 해 가을에 노멀루트로 독일과 프랑스 두 나라 원정대가 투입되어 10월 14,15,17일에 걸쳐 독일대가 11명, 프랑스대가 4명이 등정했다. 그러자 1979년에는 유고슬라비아 원정대가 (주로 슬로베니아 클라이머들인데) 서릉으로 도전, 5월13일과 15일 양일에 다섯명이 정상에 섰으며, 가을에는 독일대가 노멀루트로 10월 1,2 양일에 13명이 정상에 섰다. 그런데 1978년 이후 원정대의 특색의 하나는.. 2023. 6. 11.
에베레스트의 역사 (3) 초등 후 4 반세기 아놀드 런이 그의 󰡐등산 백년사󰡑 에서 1946년부터 1956년에 이르는 기간을 󰡐위대한 10년󰡑 이라고 규정했는데, 그것은 세계 등산계가 이 사이에 눈부신 활동을 벌인 것으로 충분히 의미있는 일이었다. 즉 남미의 피츠로이와 아콩가구아 남벽을 비롯한 어려운 등반을 위시해서 히말라야 8,.000m급 14봉 가운데 여덟이 등정됐다. 그런데 그 14봉이 완등되려면 8년이 필요했다. 1945년 세계 2차 대전이 끝나자 등산 선진국 젊은이들이 세계의 지붕 중앙 아시아 고산지대로 눈을 돌리게 된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지만, 특히 그 원동력이 된 것은 안나푸르나와 에베레스트 그리고 낭가파르밧 등정이다. 그런데 그 중에서도 등산가들의 관심과 집념은 최고봉으로 몰린 것은 물론이며, 그것은 1977.. 2023. 6. 5.
에베레스트의 역사 (2) 에베레스트는 멀고 험했다 에베레스트에 등산가들이 눈을 돌리기 시작한 것은 그로부터 반세기 뒤의 일이다. 즉 1907년 영국산악회 창립 50주년 기념사업으로 그들이 명명한 최고봉 도전 제안이 나왔다. 그러나 영국은 러시아와 조약을 맺으려는 참이었고 한편 에베레스트를 국경으로 하고 있는 티베트와 네팔이 외국인이 국내로 들어오는 것을 싫어하고 있어서 그들의 의사를 존중하는 뜻에서 그 제안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리하여 에베레스트 등반의 기운이 무르익기는 세계1차 대전이 끝난 뒤였다. 드디어 영국 등반대는 1921년 5월 장도에 오르는데, 영국이 역사적인 거보를 내딛게 된 것은 당시 국력이 멀리 해외로 뻗으며 인도를 지배하고 있으면서 군인들이 중앙 아시아를 탐사할 수 있는 유리한 조건하에 있었기 때문이다. 그.. 2023. 6. 2.
에베레스트의 역사 (1) 에베레스트, 그 20세기 1.프롤로그 Sir, I have discovered the highest mountain in the world!󰡓 1852년의 일이다. 어느날 인도 델리 북북동 140km 떨어진 데라-둔에 있는 인도측량국 장관실로 인도인 측량계산주임이 뛰어들며 숨막힌 소리로 󰡒각하, 지금 세계에서 제일 높은 산을 발견했습니다.󰡓 고 외쳤다. 그때까지 측량 부호로 Peak XV로 되어있던 봉우리가 테이터를 정리하다 8,848m 높이인 것을 알았다는 이야기다. 1849년 까지 세계 최고봉은 캉첸중가로 생각했고 측량국에서도 인도 평원에서 멀리 네팔 고봉들의 고도와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측량을 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렇게 발견된 세계 최고봉에 영국왕실지리학회가 전임 측량국 장관이었던 죠지에베레스트의.. 2023. 5. 29.
에베레스트를 향한 영국의 도전 (2) 에베레스트를 향한 영국의 도전 (2) 영국의 에베레스트 3차 원정대는 핀치가 고안한 산소호흡기를 등반역사에 있어 처음으로 사용하여 8,326m까지 올랐지만, 당시에는 산소 사용이 등산의 페어플레이 정신에 위배된다는 주장이 지배적이었다. 산소의 힘을 빌린다는 것은 공정한 수단이 될 수 없으며, 등산은 자기 체력만으로 어려움을 극복해야하는 것이 정당하다고 등산의 순수론자들이 주장했다. 반면 산소호흡기를 고안해 낸 조지 핀치는 '인간의 지혜로 만들어낼 수 있는 모든 이점의 활용'을 역설하였고, 1953년 원정대의 존 헌트 대장은 "산소용구는 보다 높이 보다 빨리 오르기 위하여 최후에 필요한 체력을 비축해 줄 수 있는 이기(利器)' 라고 주장하면서 이것의 사용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1953년 에베레스트 초등.. 2022. 1. 14.
에베레스트를 향한 영국의 도전 (1) 에베레스트를 향한 영국의 도전 (1) 영국이 세계 최고봉 에베레스트(8,850m)에 역사적인 첫 탐색대를 파견한 것은 1921년이며, 영국의 에베레스트 도전 32년의 역사는 이렇게 시작한다. 제1차 탐색대는 하워드 버리 대령이 4명의 대원들과 함께 현지로 출발한다. 이들은 인도 다질링에서 150km 거리의 에베레스트를 향해 미지의 머나먼 길을 찾아 500km를 우회한다. 첫 탐색대의 주 임무는 정상으로 오르는 루트를 찾는 것이었다. 대원 중에는 유명한 조지 말로리도 참가하였으며, 그는 30km에 달하는 빙하로 들어가 롱북빙하라고 명명한다. 이 탐색대는 동쪽 라파크 고개 넘어 북릉 안부에서 정상에 이르는 노스콜 루트를 발견한다. 훗날 에베레스트 등반 루트가 된 아이스폴을 처음 발견한 사람은 조지 말로리다... 2022. 1. 14.
에베레스트의 높이 에베레스트의 높이 에베레스트 산은 히말라야 산맥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이 산은 히말라야 내륙 깊숙이 자리 잡고 있으며, 수많은 산맥들로 가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1852년까지는 캉첸중가(8586m)가 세상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여겨졌다. 1849년 실시한 삼각측량 계산결과에 따라 1852년이 되어서야 'Peak 15'가 가장 높은 8840미터 봉우리로 증명되었다. 이 수치는 100년 동안 세인들에게 사용되었다. 당시 유럽의 몇몇 전문가들은 새로 발견된 히말라야 고봉들이 7620미터보다 높을 수 없다고 주장했고, 한편에서는 이 수치가 너무 낮다고 주장하며 정정을 시도하기도 했다. 대기 가운데 빛의 굴절에 대한 보정 수치를 고려해서 8888미터나 8882미터 고도가 그 산에 주어졌다.. 2021. 12. 5.
에베레스트(EVEREST)의 명칭 에베레스트의 명칭 1845년부터 1850년까지 히말라야 남쪽 기슭의 저지대에서부터 인도 측량국이 삼각측량을 실시하는 동안, 이들 수평 봉우리들 중에서 가장 눈에 띄었던 첫 봉우리를 'Peak b' 로 표시했다. 이어서 1850년에 'Peak h' 그리고 마지막 답사 때는 'Peak 15'로 표시했다. 1852년이 되어서야 측량 결과의 계산은 끝이 났다. 'Peak 15'의 높이가 8840미터로 지구에서 가장 높은 산임이 드러났으나 1856년에 가서야 이를 공표했다. 그리고 이를 기념할 수 있는 좀 더 명예로운 명칭을 만들어내는 것이 필요했다. 당시 조지 에버리스트 경의 업무를 그대로 이어받아 1847년부터 히말라야산맥을 자세히 측량하기 시작한 앤드류 워 대령은, 1823년부터 1843년까지 인도 측량에 .. 2021. 12. 5.
반응형
LIST